wonder

정보보안 스터디 - 9주차 2일 - 리눅스 전체 서버 구성 본문

Security/리눅스

정보보안 스터디 - 9주차 2일 - 리눅스 전체 서버 구성

wonder12 2022. 12. 10. 00:22

리눅스 설치부터 각종 서버를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 기본설정

cp .vimrc /etc/skel/

프롬프트 색상 설정 등 기본 .bashrc 설정을하고

skel에 넣어줍니다.

 

hostname 서버/클라 변경해주고

useradd 합니다.

 

기본설정이 끝났다면 스냅샷을 찍고 서버구성을 합니다.

 

nslookup www.google.com으로 일단 외부로의 네트워크 연결이 잘이루어지는지 테스트하고

현재는 DNS서버를 kt로 설정하여 dns정보를 받아오고 있습니다.

 

 

 

 FTP서버(10.20.15.200)

서버는 vsftpd

클라이언트는 ftp를 설치하고

system enable --now

 

클라이언트에서

ftp open 10.20.15.200 접속 후

 /home/user1 에서 get,mget 다운로드

업로드 경로는 /tmp 에서 put,mput 업로드합니다.

 

 

 

 WEB 서버(intra/DMZ - 10.20.17.200)

yum -y install httpd mriadb-server php

이렇게 3개를 설치해줍니다.

 

mysql db의 초기 계정설정을하고 웹과 연동합니다.

 

 

사용자전용페이지나, 관리자 전용페이지를 만들 수도 있고

.htaccess 로 접속했을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설정가능합니다.

 

경로는 /public_html로 지정해도 되지만 

/www1에 

가상 호스트 이름으로,

임의의 포트번호로,

임의의 ip를 추가하여 ip로

분류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아직 DNS서버를 구축하지 않았기 때문에 테스트 목적으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etc/hosts 에서 도메인 이름을 입혀줍니다.

curl http://www.wonder.com(10.20.17.200) 또는

firefox 로 직접 접속하여 테스트합니다.

 

 

php기반의 동적 사이트를 만든다면 php를 설치합니다.

 

JSP 자바 기반의 동적 웹서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tomcat(:8080)도 설치해줍니다.

tomcat 은 사용자를 따로 추가해줘야합니다.

또한 wget으로 받아온 외부 프로그램이므로 service를 만들려면 직접 만들어야합니다.

 

 

 

 DNS 서버

dns서버란 해당dns의 ip를 물어보면 찾아서 응답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 지정 /etc/hosts를 먼저 참고하고 해당 dns이름이 없다면

/etc/resolv.conf 에 있는 DNS서버를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DNS1을 10.20.16.200, 보조DNS를 kt로 지정합니다.

 

systemctl enable --now named

실행해준뒤 

 

설정파일에서

누구나 dns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any로 바꾸고

include설정파일에서 정방향, 역방향 설정파일을 지정해줍니다.

정방향은 email, ns, ftp 등 서버별로 dns를 정해줍니다.

또한 10.20점대의 역방향 설정파일을 직접 만듭니다. 

 

systemctl restart named

 

 

nslookup www.wonder.com
nslookup mail.wonder.com
nslookup ftp.wonder.com

...

테스트해보면 메인DNS서버인 10.20.16.200이 나옵니다.

 

nslookup 10.20.14.200 > dhcp서버

nslookup 10.20.16.200 > mail서버

역방향까지 테스트해주면 DNS로 등록한 서버가 나옵니다.

 

 

 

 EMAIL 서버

smtp 25번, pop3 110번 설치

yum -y install sendmail dovecot

systemctl enable ~

 

클라이언트 ip주소 번호대를 relay에 넣어주는 등

관련 설정을 해줍니다.

 

잘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mailx로 현재 서버안에서 유저끼리 테스트 메일을 보내봅니다.

클라이언트에서 그래픽기반 메일 프로그램인 evolution을 다운받아

user1,user2를 만들고 주고 받아봅니다. 

 

 

 

 DHCP 서버

범위와/서브넷마스크/게이트웨이/DNS서버 까지 설정을 하는데 

설정을 할 때는 DNS에 등록된 현재 서브넷마스크로 해야 오류가 안납니다.

 

dhcpd 관련설정을 해줍니다.

 

 

클라이언트에서 할당받기위해서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에서

dhcp로 변경, 나머지 ip, 게이트웨이, DNS서버 등 설정들은 주석처리해줍니다.

적용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service
nmcli connection up ens33

 

 

 

     

SAMBA

리눅스에 리눅스끼리 마운트하여 파일공유도 할 수 있고 원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NFS

 

 

 

 

다음에는 

samba, nfs 서버 마운트와 레이드/LVM 디스크 구성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Comments